지방교회 측의 진리변증-삼위일체와 페리코레시스
기타
청지기 , 2008-09-19 , 조회수 (3540) , 추천 (0) , 스크랩 (0)

 

지방교회 측의 진리변증-삼위일체와 페리코레시스

 

삼위일체론(Trinity, Triune God) 셋의 방면과 하나의 방면이 있습니다(28:19). 그런데 교회역사 삼위의 셋의 방면을 지나치게 강조하다가 삼신론 되거나, 하나의 방면을 너무 고집함으로 양태론으로 빗나가는 경우가 종종 있어 왔습니다. 따라서 위격의 구별을 분명히 하면서도 한분 하나님이심을 유지할 있는 안전장치로 요한복음 10:38, 14:9,11, 17:21 등의 말씀에 근거한 삼위의 상호 내재’를 의미하는 '페리코레시스'(περιχώρησιϛ) 개념이 정통 신학자들 사이에서 공감대를 이뤄 왔습니다.

 

아래 내용은 고신대학원 유해무 교수의 개혁교의학(크리스챤다이제스트, 2000) 164-165쪽에서 인용한 것입니다.

 

 다메섹 요한(670-750) 삼위일체론 신학에 공재(共在)( περιχώρησιϛ)개념을 도입했다. 그는 요한 복음 10:38, 14:9,11, 17:21 근거로 하여 이를 말한다. 물론 용어와는 관계없이 사상 자체는 이레니우스,  아타나시우스나 나지안주스의 그레고리 고대 교부들에게도 발견된다. 기독론에서 Maximus the Confessor(580-662) 양성연합에서 오는 사역의 단일성을 표현하려고 용어를 최초로 썼다. 신론에서는 Pseudo-Cyril 최초로 썼고, 이를 다메섹 요한이 계승했다. 말은 위격들의 대면적 공재와 상호침투를 표현한다. “삼위하나님은 상호 안에서 서로 섞이지 않는 침투를 공유한다….성자는 성부와 성령 안에 계시고, 성령은 성부와 성자 안에 계시며, 성부는 성자와 성령 안에 계시나, 뒤섞임이나 용해나 혼합은 발생하지 않는다. 공재는 본질의 단일성에 기초한다. 위격들은 동등한 본질이며, 상존하고 있다. 상호 관계하며, 상호 개방적이고 상호 자기 수여적이다.”

 

칼빈은 먼저 삼위께서 참되신 하나님이시요, 삼위를 떠나서 하나님은 결코 알려질 없다고 단호하게 말한다. 하나님을 아는 것은 바로 분을 삼위로 아는